하늘길을 달린다, 도심 항공 모빌리티
등록
2020.08.26
오늘은 공상과학 영화에서나 접해왔던 하늘을 나는 자동차! 도심 항공 모빌리티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도심 항공 모빌리티 (UAM, Urban Air Mobility)는 지상 교통망을 넘어 하늘을 이동 통로로 활용하는 미래 도시 교통 솔루션입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는 UAM이 현실화 되면, 서울 시내 평균 이동 시간을 지금보다 약 70% 단축시킬 수 있다고 합니다.
도심 항공 모빌리티 (UAM, Urban Air Mobility)는 지상 교통망을 넘어 하늘을 이동 통로로 활용하는 미래 도시 교통 솔루션입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는 UAM이 현실화 되면, 서울 시내 평균 이동 시간을 지금보다 약 70% 단축시킬 수 있다고 합니다.
이렇듯 항공 모빌리티가 미래 혁신 이동 수단으로 평가되면서, 유럽, 미국, 중국 등 다양한 글로벌 업체에서 해당 산업에 뛰어들어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현대자동차는 에어 택시의 대표주자였던 우버와 손잡고 ‘s-A1’이라는 자율 항공기를 개발했습니다.
독일의 스타트업 회사인 ‘볼로콥터(Volocopter)’는 2017년 두바이, 2019년 독일 도심에서 시험비행을 마쳤습니다.
뿐만 아니라 중국 드론 업체 ‘이항(EHang)’은 하늘을 나는 앰뷸런스를 개발하는 Ambular 프로젝트에 합류해, 항공 모빌리티와 안전성에 대한 연결고리를 만들고 있습니다.
현대자동차는 에어 택시의 대표주자였던 우버와 손잡고 ‘s-A1’이라는 자율 항공기를 개발했습니다.
독일의 스타트업 회사인 ‘볼로콥터(Volocopter)’는 2017년 두바이, 2019년 독일 도심에서 시험비행을 마쳤습니다.
뿐만 아니라 중국 드론 업체 ‘이항(EHang)’은 하늘을 나는 앰뷸런스를 개발하는 Ambular 프로젝트에 합류해, 항공 모빌리티와 안전성에 대한 연결고리를 만들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도심 항공 모빌리티가 구현되기 위하여 필요한 요소가 무엇인지 알아볼까요?
PAV (Personal Air Vehicle, 미래형 개인 비행체)
UAM을 언급할 때 빠질 수 없는 요소가 PBV 입니다. 미래형 개인 비행체로써 한국교통연구원과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 따르면 ‘드론택시’라고도 불리는 PAV는 자동차를 대체할 비행 수단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현재 개발하고 있는 PAV가 일반적인 비행기와 다른 점으로는 활주로 없이 수직 이착륙을 한다는 점입니다. 업계에서는 이러한 헬리콥터와 드론의 하이브리드 형태의 수직 이착륙 비행체를 eVTOL (Electric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Aircraft)라고 지칭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PAV가 존재함으로써, 하늘과 지상을 연결하는 이동 솔루션인 UAM이 있을 수 있습니다.
PBV (Purpose Built Vehicle, 목적 기반 모빌리티)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기능으로 변하는 자율주행 지상 모빌리티 입니다. 도로 위에서 사람과 사람을 연결하면서, 이동 중에도 PBV 공간 안에서 여가, 휴식을 즐길 수 있을뿐더러 여럿이 이용하는 대중교통으로 활용할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다양한 용도로 사용하던 PBV가 HUB와 연결되면 도로와 지상을 모두 연결하는 생태계를 형성하게 됩니다.
HUB (모빌리티 환승 거점)
HUB는 UAM의 주요 인프라 중 하나로 육상 모빌리티(PBV)와 항공 모빌리티(PAV)를 연결하는 터미널의 역할을 합니다. 두 모빌리티를 연결하기 위하여 이착륙장 및 도킹스테이션으로 구성됩니다.
- 최상단에 위치한 PAV와 HUB를 연결하는 이착륙장(Skyport)
- 1층에 위치한 PBV와 HUB를 연결하는 도킹 스테이션(Docking Station)
HUB의 핵심적인 공간은 1층으로써, 사람들이 교류할 수 있는다목적 커뮤니티 공간입니다. 다양한 기능으로 운용할 수 있는 PBV와 연결되는 순간, 여가 공간부터 서비스 공간까지 유동적으로 공간을 확장시킬 수 있게 됩니다.
PAV (Personal Air Vehicle, 미래형 개인 비행체)
UAM을 언급할 때 빠질 수 없는 요소가 PBV 입니다. 미래형 개인 비행체로써 한국교통연구원과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 따르면 ‘드론택시’라고도 불리는 PAV는 자동차를 대체할 비행 수단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현재 개발하고 있는 PAV가 일반적인 비행기와 다른 점으로는 활주로 없이 수직 이착륙을 한다는 점입니다. 업계에서는 이러한 헬리콥터와 드론의 하이브리드 형태의 수직 이착륙 비행체를 eVTOL (Electric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Aircraft)라고 지칭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PAV가 존재함으로써, 하늘과 지상을 연결하는 이동 솔루션인 UAM이 있을 수 있습니다.
PBV (Purpose Built Vehicle, 목적 기반 모빌리티)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기능으로 변하는 자율주행 지상 모빌리티 입니다. 도로 위에서 사람과 사람을 연결하면서, 이동 중에도 PBV 공간 안에서 여가, 휴식을 즐길 수 있을뿐더러 여럿이 이용하는 대중교통으로 활용할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다양한 용도로 사용하던 PBV가 HUB와 연결되면 도로와 지상을 모두 연결하는 생태계를 형성하게 됩니다.
HUB (모빌리티 환승 거점)
HUB는 UAM의 주요 인프라 중 하나로 육상 모빌리티(PBV)와 항공 모빌리티(PAV)를 연결하는 터미널의 역할을 합니다. 두 모빌리티를 연결하기 위하여 이착륙장 및 도킹스테이션으로 구성됩니다.
- 최상단에 위치한 PAV와 HUB를 연결하는 이착륙장(Skyport)
- 1층에 위치한 PBV와 HUB를 연결하는 도킹 스테이션(Docking Station)
HUB의 핵심적인 공간은 1층으로써, 사람들이 교류할 수 있는다목적 커뮤니티 공간입니다. 다양한 기능으로 운용할 수 있는 PBV와 연결되는 순간, 여가 공간부터 서비스 공간까지 유동적으로 공간을 확장시킬 수 있게 됩니다.
앞에서 살펴본 UAM-PBV-HUB 세가지 솔루션을 통해 스마트 모빌리티를 실현해날 수 있을텐데요. 머지 않은 미래에 만들어질 스마트 시티를 위하여 UAM은 다음과 같이 4대 원칙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1) 안정성 : 자동차에서 빼놓을 수 없는 안전에 대한 원칙이 있습니다.
2) 저소음 : 지상에서 비행해야 하기에 소음발생을 최소화하여 설계합니다.
3) 경제성과 접근 용이성 : 누구나 UAM을 이용 가능한 가격 경쟁력을 갖추도록 제조 및 설계합니다.
4) 승객 중심 : 사물인터넷과 결합하여 이용자의 편의성과 안정성을 확보합니다.
이렇듯 혁신적인 미래 교통 수단이 구현되기 위해서는, 관련 시스템과 법제도가 우선적으로 정립되어야 할 것 입니다.
UAM의 도입은 꽉 막힌 교통체증을 해소하는 강점이 있지만, 수 많은 비행기가 하늘에 있을 때 네트워크 관리에 대한 문제해결이 우선적으로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뿐만아니라 지상에 있는 사람들의 안전과 비행소음에 대한 문제들도 여전히 해결하는 부분이기에, 앞으로 미래 도시 교통체계가 어떻게 발전해나갈 수 있을지 지속적인 관심과 노력이 필요합니다.
머지 않아 시간적, 물리적 경계를 허물고 효율적인 시간 활용으로 스마트한 라이프스타일을 누릴 수 있는 도심 항공 모빌리티를 기대해 봅니다.
1) 안정성 : 자동차에서 빼놓을 수 없는 안전에 대한 원칙이 있습니다.
2) 저소음 : 지상에서 비행해야 하기에 소음발생을 최소화하여 설계합니다.
3) 경제성과 접근 용이성 : 누구나 UAM을 이용 가능한 가격 경쟁력을 갖추도록 제조 및 설계합니다.
4) 승객 중심 : 사물인터넷과 결합하여 이용자의 편의성과 안정성을 확보합니다.
이렇듯 혁신적인 미래 교통 수단이 구현되기 위해서는, 관련 시스템과 법제도가 우선적으로 정립되어야 할 것 입니다.
UAM의 도입은 꽉 막힌 교통체증을 해소하는 강점이 있지만, 수 많은 비행기가 하늘에 있을 때 네트워크 관리에 대한 문제해결이 우선적으로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뿐만아니라 지상에 있는 사람들의 안전과 비행소음에 대한 문제들도 여전히 해결하는 부분이기에, 앞으로 미래 도시 교통체계가 어떻게 발전해나갈 수 있을지 지속적인 관심과 노력이 필요합니다.
머지 않아 시간적, 물리적 경계를 허물고 효율적인 시간 활용으로 스마트한 라이프스타일을 누릴 수 있는 도심 항공 모빌리티를 기대해 봅니다.